지역이슈

2021년 7월 19일

부하라, 중앙아시아 이슬람 문명과 현대의 공존

중앙아시아 농경 정주지대는 고대부터 관개 농업을 중심으로 도시들이 발달해 왔다. 중앙아시아 도시들은 7세기 이슬람화의 결과 무슬림 도시로서의 특징을 보이게 되지만, 중앙아시아 도시 특유의 삼중구조와 중앙아시아 지리-인문 환경, 종교적 특이점을 포함하여 중앙아시아만의 독특한 면모도 지니고 있다. 19세기 이후 러시아 식민지 근대화 과정을 통해 현대 중앙아시아 도시의 특징을 갖게 된다. 거듭되는 파괴와 재건을 딛고 전통과 현대가 공존하는 중앙아시아 도시들은 중앙아시아 사회를 이해하는 데 필수적이다.
2020년 12월 15일

Central Asia on Time

서울대 아시아연구소 웹진, 『다양성+아시아』 11호 풍부한 천연자원, 높은 성장잠재력에서 비롯하는 시장성, 남북과 동서를 연결하는 지정학적 특성을 고려하면 중앙아시아 5개국과의 경제협력은 우리나라 경제에 각별한 의미를 지닌다. 한국과 […]
2020년 12월 15일

2020년 러시아 가스산업의 변화: 수출 감소 후 생존 위한 탈탄소 추진

서울대 아시아연구소 웹진, 『다양성+아시아』 11호   2020년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세계적인 이동 제한령(Lockdown)으로 어떤 나라와 산업이 타격을 받았을까? 우리가 알고 있는 가스대국 러시아의 가스산업도 이 중에 하나다. […]
2020년 9월 22일

키르기스스탄 정치체제의 특징과 현상: 독점적 후견주의에서 경쟁적 후견주의로, 그리고 부패

서울대 아시아연구소 웹진, 『다양성+아시아』 10호 민주주의의 진전 혹은 후퇴, 혁명에 의한 정권교체 같은 정치변동에도 불구하고, 키르기스스탄 정치체제를 일관하는 특징은 비공식 정치의 영역에 속하는 후견주의라고 할 수 […]
2020년 9월 15일

중앙아시아의 장기집권 권위주의 정치

서울대 아시아연구소 웹진, 『다양성+아시아』 10호 독립 후 수년 동안 중앙아시아 5개국들이 탈공산화를 위한 정치체제 전환을 추진하면서 ‘민주주의로의 이행’에 대해 낙관론이 상당하였다. 그러나 국제사회 또는 서방세계의 기대와는 […]
2020년 6월 15일

제2의 엑소더스: 카자흐스탄 러시아인들의 귀환이주

서울대 아시아연구소 웹진, 『다양성+아시아』 9호 카자흐스탄은 중앙아시아 5개국 중 러시아인이 가장 많이 거주하는 나라이다. 18세기부터 러시아인들이 카자흐스탄에 본격적으로 이주하여 정착했고, 중앙아시아 5개국 중 러시아와 가장 긴 […]
2020년 6월 15일

카자흐스탄의 변화 속에 나타난 코로나19 확산

서울대 아시아연구소 웹진, 『다양성+아시아』 9호 구소련 붕괴 이후 카자흐스탄은 신생 독립국으로 국제사회에 등장했다. 카자흐스탄은 그동안 많은 우려에도 불구하고 짧은 시간 동안 비교적 안정적인 체제이행과 국가 운영을 […]
2020년 3월 15일

우즈베키스탄 청년세대의 가치관 : 건강하고 성공적인 삶이란?

서울대 아시아연구소 웹진, 『다양성+아시아』 8호   이 글은 구소련에서 독립한 우즈베키스탄의 미래를 이끌어 갈 청년세대의 가치관을 살펴봄으로써, 우즈베키스탄의 과거, 현재와 미래 발전에 대해 조망하고자 하였다. 특히, […]
2020년 3월 15일

포스트소비에트 국가정체성 구축 프레임과 세계화의 교차로에 선 “카자흐스탄 청년세대”

서울대 아시아연구소 웹진, 『다양성+아시아』 8호 이 글은 구소련체제 붕괴 후 카자흐스탄이 새로운 국가·민족 정체성을 구축해 나가는 과정에서 형성된 이른바 ‘나자르바예프 세대’로 일컬어지는 청년세대의 특징을 고찰한다. 또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