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아시아센터

2025년 1월 23일

중앙아시아센터 이주난민연구단 제8회 전문가초청특별강연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우즈베키스탄의 구소련 공화국으로 구성된 중앙아시아는 독립 이후 상당한 난민 유입과 기타 형태의 비자발적 이주를 경험했다. 소련의 붕괴와 그에 따른 내전, 경제적 어려움으로 […]
2024년 12월 31일

2024년도 12월호: 시리아 내전이 끝난 뒤 시리아 난민은 어디로 가야 하나?

시리아 내전이 끝난 뒤 시리아 난민은 어디로 가야 하나? 황의현 (아시아연구소) 2024년 12월 반군 연합조직인 이슬람주의 무장조직 하야트 타흐리르 알샴(HTS, Haiat Tahrir al-Sham)이 다마스쿠스를 점령하고 아사드 정권 […]
2024년 12월 31일

2024년도 12월호: 이민 규제를 강화하는 유럽, 우크라이나 난민 지원은 어떻게 변하고 있는가?

이민 규제를 강화하는 유럽, 우크라이나 난민 지원은 어떻게 변하고 있는가? 최아영 (아시아연구소) 유럽연합의회는 2024년 4월 유럽으로 유입되는 이민자와 난민에 대한 새로운 규정을 담은 이민·난민협정(Pact on Migration […]
2024년 12월 31일

2024년도 12월호: 러시아의 강제이주 현황과 정책 전망 – 드미트리 폴레타예프 박사 초청 강연회

러시아의 강제이주 현황과 정책 전망: 드미트리 폴레타예프 박사 초청 강연회 슬랩첸코 바딤 (아시아연구소)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중앙아시아센터는 지난 12월 10일, 러시아의 강제이주 문제를 심도 있게 다루는 특별 강연회를 […]
2024년 12월 13일

이주, 경계, 공간: 이주민/난민과의 공생을 향한 길을 묻다

2024년 12월 13일 서울대 아시아연구소 중앙아시아센터 이주난민연구단은 한국이민학회와 서울대 아시아연구소 아시아이주센터와 공동으로 2024 한국이민학회 정기 하반기 학술대회 “이주, 경계, 공간: 이주민/난민과의 공생을 향한 길을 묻다”를 개최했다. […]
2024년 12월 10일

중앙아시아센터 이주난민연구단 제7회 전문가초청특별강연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중앙아시아센터 이주·난민연구단은 12월 10일 드미트리 폴레타예프 박사를 초청하여 ‘러시아의 강제 이주 현황과 이주 정책의 전망’이라는 주제로 전문가 초청 특강을 개최했다. 이 특강은 온·오프라인 하이브리드 […]
2024년 12월 9일

국제질서의 재편과 유라시아를 향한 새로운 도전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중앙아시아센터는 2024년 12월 9일 국회도서관 강당(B1)에서 (사)유라시아21, 김준형 국회의원실, (사)유라시아정책연구원,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사)한러친선협회, 한국-키르기즈스탄 친선협력협회, 크라스키노포럼과 공동으로 <국제질서의 재편과 유라시아를 향한 새로운 도전>이라는 주제로 정책포럼을 개최했다. […]
2024년 11월 28일

중앙아시아센터 이주난민연구단 제6회 난민교육프로그램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중앙아시아센터 이주·난민연구단은 11월 28일(목)에 초청 강연회를 개최했다. 강연은 바딤 슬랩첸코 박사(서울대학교)의 사회로 시작되었다. 일본에서 북한 연구를 전문으로 하고 현재 주일미군부대에서 근무 중인 미야츠카 수미코 […]
2024년 10월 27일

중앙아시아 국경분쟁의 해결방안 모색

2024년 10월 22일(화), 아시아연구소는 동아대 국제전문대학원의 송금영 교수를 초청하여 “중앙아시아 국경분쟁의 해결방안 모색”이라는 주제로 브라운백 세미나를 개최하였다. 송금영 교수는 동아대에서 국제정치학으로 석사 학위를 취득한 후, 1990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