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enter for Eurasian and Central Asian Studies(CECAS)
  • 02-880-2097
  • centralasia@snu.ac.kr
    <정책포럼> 국제질서의 재편과 유라시아를 향한 새로운 도전<정책포럼> 국제질서의 재편과 유라시아를 향한 새로운 도전<정책포럼> 국제질서의 재편과 유라시아를 향한 새로운 도전<정책포럼> 국제질서의 재편과 유라시아를 향한 새로운 도전
    • 센터소개
      • 인사말
      • 연혁 및 목적
      • 구성원
      • 규정
      • 찾아오시는 길
    • 학술행사
      • 콜로키움/초청강연
      • 워크샵/세미나
      • 학술대회
      • 현지조사
    • 연구성과
      • 단행본
      • 논문
      • 기고
    • MRD 포커스
    • 지역이슈
    • 연구원활동
    • 이주난민연구단

    국제질서의 재편과 유라시아를 향한 새로운 도전

    • Home
    • 워크샵/세미나
    • <정책포럼> 국제질서의 재편과 유라시아를 향한 새로운 도전
    2024년도 11월호: 우크라이나 난민의 경제 활동: 폴란드 고용 시장 참여 현황
    2024년 11월 29일
    중앙아시아센터 이주난민연구단 제7회 전문가초청특별강연
    2024년 12월 10일
    2024년 12월 9일
    Categories
    • 워크샵/세미나
    Tags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중앙아시아센터는 2024년 12월 9일 국회도서관 강당(B1)에서 (사)유라시아21, 김준형 국회의원실, (사)유라시아정책연구원,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사)한러친선협회, 한국-키르기즈스탄 친선협력협회, 크라스키노포럼과 공동으로 <국제질서의 재편과 유라시아를 향한 새로운 도전>이라는 주제로 정책포럼을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트럼프 재집권 이후 국제사회의 재편을 전망하고, 유라시아 국제정세 분석 및 한국의 대응 방안을 논의하며, 유라시아 비즈니스 성공스토리를 공유하기 위해 개최되었다.

    정책포럼은 “유라시아 비즈니스 성공스토리: 시련을 넘어 재도약의 희망으로”를 주제로 한 제1부와 문화 공연, “유라시아 국제정세 분석 및 한국의 대응 방안“을 주제로 한 제2부로 구성되었다. 제1부에서는 백주현 유라시아21 부이사장의 사회로 “유라시아 비즈니스 성공스토리: 시련을 넘어 재도약의 희망으로”라는 주제로 발제했다. 김주휘 북방물류산업진흥원 차장, 박경태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국가희소금속센터 소장, 이백희 전 East Telecom 대표, 김원창 Kun Kuaty LLP. 대표, 윤현숙 ㈜라라잇츠 대표, 조용필 카르기스스탄 전문 여행사 ‘길따라필따라’대표 그리고 장순재 ㈜로얄푸드 대표가 발제자로 참여했다.

    제2부는 서동주 유라시아정책연구원 원장의 사회로 “유라시아 국제정세 분석 및 한국의 대응 방안”이라는 주제로 발제와 토론이 진행되었다. 박병환 유라시아전략연구소 소장, 김영옥 법무법인경연 변호사, 장세호 국가안보전략연구원 연구위원, 성동기 인하대학교 교수가 발제했다.

    Share
    2
    중앙아시아센터
    중앙아시아센터

    Related posts

    2025년 10월 23일

    중앙아시아센터 이주난민연구단 제9회 난민교육프로그램


    Read more
    2025년 6월 5일

    중앙아시아센터 이주난민연구단 제8회 난민교육프로그램


    Read more
    2025년 4월 17일

    중앙아시아센터 이주난민연구단 제7회 난민교육프로그램


    Read more

    Comments are closed.

    콜로키움/초청강연
    워크샵/세미나
    학술대회
    현지조사
    08826 서울시 관악구 관악로 1 서울대학교 101동 아시아연구소 308호
    Tel. 02-880-2097 | Fax. 02-883-2694 | Email centralasia@snu.ac.kr
    © 2021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중앙아시아센터.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