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아시아센터

2020년 9월 23일

유라시아 지정학적 중간국의 대외전략

일시: 2020년 9월 25일 장소: 아시아연구소 303호 주최: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중앙아시아센터 & 서울대학교 국제문제연구소 공동주최 목표: 현재 추진중인 유라시아 중간국들의 외교행태에 관한 단행본 출간 프로젝트 집필진 9명 각각의 […]
2020년 9월 22일

키르기스스탄 정치체제의 특징과 현상: 독점적 후견주의에서 경쟁적 후견주의로, 그리고 부패

서울대 아시아연구소 웹진, 『다양성+아시아』 10호 민주주의의 진전 혹은 후퇴, 혁명에 의한 정권교체 같은 정치변동에도 불구하고, 키르기스스탄 정치체제를 일관하는 특징은 비공식 정치의 영역에 속하는 후견주의라고 할 수 […]
2020년 9월 15일

중앙아시아의 장기집권 권위주의 정치

서울대 아시아연구소 웹진, 『다양성+아시아』 10호 독립 후 수년 동안 중앙아시아 5개국들이 탈공산화를 위한 정치체제 전환을 추진하면서 ‘민주주의로의 이행’에 대해 낙관론이 상당하였다. 그러나 국제사회 또는 서방세계의 기대와는 […]
2020년 6월 15일

알타이의 사계: 중국 신강 카작족 유목민의 계절목장과 일상생활

일시: 2020년 6월 18일  (목) 14:00 -17:00 장소: 아시아연구소 304호   서울대아시아연구소 중앙아시아센터 는 ‘알타이의 사계: 중국 신강 카작족 유목민의 계절목장과 일상생활’을 주제로 콜로키움을 개최합니다. ※ […]
2020년 6월 15일

제2의 엑소더스: 카자흐스탄 러시아인들의 귀환이주

서울대 아시아연구소 웹진, 『다양성+아시아』 9호 카자흐스탄은 중앙아시아 5개국 중 러시아인이 가장 많이 거주하는 나라이다. 18세기부터 러시아인들이 카자흐스탄에 본격적으로 이주하여 정착했고, 중앙아시아 5개국 중 러시아와 가장 긴 […]
2020년 6월 15일

카자흐스탄의 변화 속에 나타난 코로나19 확산

서울대 아시아연구소 웹진, 『다양성+아시아』 9호 구소련 붕괴 이후 카자흐스탄은 신생 독립국으로 국제사회에 등장했다. 카자흐스탄은 그동안 많은 우려에도 불구하고 짧은 시간 동안 비교적 안정적인 체제이행과 국가 운영을 […]
2020년 4월 9일

유라시아 교통물류

일시: 2019년 10월 4일(금) 10:00 ~ 13:00 장소: 아시아연구소 406호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중앙아센터는 국내외 전문가들을 초청하여 콜로키움을 개최하면서, 중앙아시아지역의 현안에 대한 대중적이면서도 깊이 있는 이해를 도모하고 […]
2020년 4월 7일

푸틴주의 해부와 러시아의 미래

일시: 2019년 10월 25일(금) 10:00-17:30 장소: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국제회의실 (303호)
2020년 3월 15일

우즈베키스탄 청년세대의 가치관 : 건강하고 성공적인 삶이란?

서울대 아시아연구소 웹진, 『다양성+아시아』 8호   이 글은 구소련에서 독립한 우즈베키스탄의 미래를 이끌어 갈 청년세대의 가치관을 살펴봄으로써, 우즈베키스탄의 과거, 현재와 미래 발전에 대해 조망하고자 하였다. 특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