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ll
- MRD 포커스 2025년도 4월호
- MRD 포커스 2025년도 5월호
- MRD 포커스 2025년도 6월호
- MRD 포커스 2025년도 7월호
- MRD 포커스 2025년도 8월호
- MRD 포커스 2025년도 9월호
최악의 가뭄이 닥친 이라크와 시리아, 농촌 이주민 증가 가능성 황의현(아시아연구소) 이라크와 시리아가 최악의 가뭄에 직면했다. 이라크에서는 겨울 강수량이 줄어들어 유프라테스강과 티그리스강의 수량이 최대 27% 감소해 1933년 […]
러시아 ‘동포 귀환’ 프로그램 참여자 급감…2023년 10년 만에 최저치 슬랩첸코 바딤(아시아연구소) 러시아 내무부 자료에 따르면 러시아의 ‘동포 자발적 이주 프로그램(Программа добровольного переселения соотечественниĸов)’ 참여자 수가 2023년 […]
타지키스탄의 아프가니스탄 난민 추방과 흔들리는 난민 보호의 원칙 최아영(아시아연구소) 전 세계 아프가니스탄 난민의 86%는 아프가니스탄과 국경을 맞댄 이란, 파키스탄, 타지키스탄 등에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추산된다. 최근 […]
소셜 데이터로 본 ’연결’과 ‘이주’의 현재 김선희(아시아연구소) 최근 몇 년 사이, 소셜 네트워크에 남겨진 포스팅 자료를 통해 실제로 사람들이 누구와 연결되어 있고 어디로 움직이는지를 소셜 데이터에서 […]
2022년 러시아發 대규모 이주 행렬… IT 전문가가 절반 차지 슬랩첸코 바딤(아시아연구소) 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후 65만 명 러시아 떠나, 4명 중 1명은 여전히 러시아 회사 근무 우크라이나 전쟁 […]
이스라엘은 팔레스타인인을 추방하려고 하는가? 황의현(아시아연구소) 2025년 8월, AP통신 등 외신은 이스라엘 고위층과 가까운 소식통을 인용해 이스라엘 정부가 가자지구의 팔레스타인인을 남수단으로 강제 추방하는 계획을 검토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
‘녹아내리는 땅’에 사는 사람들: 러시아 사하(야쿠티야) 공화국의 기후 변화와 일상 최아영(아시아연구소) 얼마 전 러시아 사하(야쿠티야) 공화국의 한 게임 개발사가 눈길을 끄는 게임을 출시했다. 사하어로 ‘녹지 않는 […]
키르기스스탄의 ‘기후 이주’ 현상 김선희(아시아연구소) 키르기스스탄은 지구 평균보다 두 배 빠른 속도로 온난화가 진행되고 있다. 1960년 이후 평균 연간 기온이 약 1.2°C 상승했고, 최근 20년 동안만 […]
이란-이스라엘 전쟁 이후 더욱 가혹해진 이란의 아프간인 정책 황의현(아시아연구소) 6월 이란과 이스라엘 전쟁 이후 이란의 아프간 이주민과 난민에 대한 통제가 더욱 엄격해지고 강제 추방이 늘어나고 […]
이란-이스라엘 전쟁, 아프간 난민에게 닥친 또다른 고난 황의현(아시아연구소) 6월 13일 이스라엘의 기습 공격으로 이란은 군부 고위 지도자가 대거 사망하는 등 막대한 피해를 입었다. 이어 6월 21일에는 […]
지구 온난화와 산업화가 바꾸고 있는 러시아 북극 순록 유목민의 삶: 야말-네네츠 자치구의 현실 최아영(아시아연구소) 러시아의 서시베리아 북부에 위치한 야말-네네츠 자치구(Yamalo-Nenets Autonomous Okrug)는 대부분의 지역이 북극권(Arctic Circle)에 […]
가치를 공유하는 외국 인재들에게 문호를 개방하는 러시아 슬랩첸코 바딤(아시아연구소) 러시아가 서방 국가들로부터 이주하는 전문가들과 인재들을 위한 특별 이민 프로그램을 가동하기 시작했다. 이 이민 정책은 전통적인 가치를 […]
이란에서 커지는 아프간 이민자에 대한 반감과 두려움 황의현(아시아연구소) 이란과 아프가니스탄은 지리적으로 가까울 뿐만 아니라 아프가니스탄의 공용어인 다리어가 이란의 공용어인 페르시아어와 사실상 같은 언어로서 자유롭게 소통된다는 점으로 […]
임시 체류에서 영구 정착으로? 우크라이나 난민 정책의 전환점 슬랩첸코 바딤(아시아연구소) 벌써 3년 넘게 지속된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유럽과 러시아에 머물고 있는 수백만 우크라이나 난민들의 운명이 또다시 갈림길에 […]
우크라이나의 이민 정책, 과연 효과적일까? 슬랩첸코 바딤(아시아연구소) 우크라이나가 직면한 심각한 인구 감소와 노동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연간 40만 명의 이주민을 유치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발표되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