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enter for Eurasian and Central Asian Studies(CECAS)
  • 02-880-2097
  • centralasia@snu.ac.kr
    중앙아시아와 이슬람 II중앙아시아와 이슬람 II중앙아시아와 이슬람 II중앙아시아와 이슬람 II
    • 센터소개
      • 인사말
      • 연혁 및 목적
      • 구성원
      • 규정
      • 찾아오시는 길
    • 학술행사
      • 콜로키움/초청강연
      • 워크샵/세미나
      • 학술대회
      • 현지조사
    • 연구성과
      • 단행본
      • 논문
      • 기고
    • MRD 포커스
    • 지역이슈
    • 연구원활동
    • 이주난민연구단

    중앙아시아와 이슬람 II

    • Home
    • 콜로키움/초청강연
    • 중앙아시아와 이슬람 II
    우즈베키스탄 고려인의 전통생활문화
    2016년 6월 2일
    우즈베키스탄과 상하이협력기구: 평화, 안정, 성장을 위한 협력
    2016년 7월 15일
    2016년 6월 4일
    Categories
    • 콜로키움/초청강연
    Tags

    발표 :

    고가영 (서울대) – “소 비에트 시기 중앙아시아 이슬람: 중앙아시아와 카자흐스탄 무슬림종무원 (САДУМ))의 활동 을 중심으로”
    최아영 (서울대) – “우 즈베키스탄 교과서에 반영된 이슬람 연구: 역사와 도덕교과서 분석을 중심으로”
    양승조 (서울대) – “예 카테리나 2세 시기 제정 러시아의 카자흐 초원 진출과 이슬람 정책”

    토론 : 김상철 (한국외대)

     

    Review

    이번 콜로키움에서는 중앙아시아 국가들에서의 이슬람의 역사적 그리고 문화적 특징을 살피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삼고 제정 러시아의 카자흐 초원 진출과 그 당시의 이슬람 정책을 분석하고 소련 시기에서 중앙아시아 지역에서의 이슬람 특히 중앙아시아와 카자흐스탄 무슬림종무원 (CAДУМ) 의 설립 배경, 계기와 구조 활동, 역대 종무원들의 생애와 활동을 살펴 보았다.

    뿐만 아니라, 세속국가로서 국가-종교 분리라는 대원칙과 우즈벡 민족 및 문화정체성을 이루는 중요한 부분인 이슬람이라는 요소가 우즈베키스탄의 역사 및 도덕 교과서에서 상호 어떤 양상으로 나타나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번 콜로키움에서 기존과 달리 이슬람은 오랜 시간 동안 중앙아시아인들의 삶 속에 깊이 뿌리내릴 수 있었던 역사적, 문화적 정체성의 형성 과정을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새로운 연구의 장을 제공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Share
    0
    중앙아시아센터
    중앙아시아센터

    Related posts

    2025년 1월 14일

    중앙아시아 난민 수용 정책의 비교고찰


    Read more
    2024년 10월 27일

    중앙아시아 국경분쟁의 해결방안 모색


    Read more
    2024년 9월 5일

    중앙아시아센터 이주난민연구단 제5회 전문가초청특별강연


    Read more

    Comments are closed.

    콜로키움/초청강연
    워크샵/세미나
    학술대회
    현지조사
    08826 서울시 관악구 관악로 1 서울대학교 101동 아시아연구소 308호
    Tel. 02-880-2097 | Fax. 02-883-2694 | Email centralasia@snu.ac.kr
    © 2021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중앙아시아센터. All rights reserved.